2014. 08. 03. Sun.

DAY 39


오늘의 학습사진  


학습 범위

RC 54강 분사 2, part 7 양식 연계지문 

LC 55강 part 4 - 안내 및 공지 1

RC 1000제 test 2 feedback


학습 내용

오늘은 강의 두 개와 RC 1000제 문제 푼 것을 복습했다. 향상평가도 하려고 했는데 시간이 안 돼서 그냥 내일 하기로 했다. LC는 드디어 part 4로 들어갔는데 왜인지 강의만 들었는데도 점수가 상승하는 것만 같은 기분 하하하 ! 담화문으로 바뀌어서 조금 어렵게 느껴지긴 했지만 이것도 매 번 연습하면 괜찮아지겠지. 집중해서 들으니 그래도 pretest는 다 맞출 수 있었다. RC는 분사 관련 두 번째 강의를 들었다. 강의 중에 모르는 것이 생겨서 질문을 남겨보았는데 답변이 궁금하다. 과연 사람이 지겨움을 유발하는 존재라면 감정동사의 사용은 어떻게 될까? 분사 구문은 예전에도 몇 번 배웠지만 쉽게 익숙해지기 힘들다. RC 1000제는 문제 푼 것을 복습하면서 모르는 단어찾기, 구문 분석 등을 하는데 문제 푸는 것 보다 훨씬 더 오래 걸리지만 항상 틀린 걸 다시 틀린다는 것을 알기 때문에 몰랐던 부분을 확실히 찾아보고 하니까 기억에 더 많이 남아서 좋다. 다음 주에는 문제 풀기 위주로 공부해야겠다. 학습일기도 내일 40회로 마무리하게 될 듯. 유종의 미를 거두자 !


오늘 꼭 기억해야 할 강의 내용

<RC>

1.

구문 - 문법적으로 비정상적인 표현이지만 규칙을 따름

숙어 - 문법적으로나 의미적으로 비정상적인 표현 (룰이 없어서 외워야 한다)

분사구문 - <접속사+주어+동사>의 부사절이나 <and+주어+동사>의 절에서 접속사와 주어를 생략하고 동사를 분사로 만들어 축약. 분사가 형용사 역할을 하지 않으면 분사구문으로 판단

ing가 명사자리에(동명사) 형용사자리에(분사) 부사자리에(분사구문). 다양한 해석 가능성 때문에 비즈니스나 계약서에서는 볼 수 없음. 의미를 분명하게 하기 위해 접속사를 복원할 수 있음. 접속사 이하에 주어 동사의 절이 동반되는 것은 아님. 시간접속사+양보접속사 though, 조건접속사 if 등이 복원 가능. 이유 because나 목적의 so that, in order that 등은 복원 불가능

1번 문제 복원시 while 대신 after가 맞다.

분사구문의 시제 - 주절의 시제보다 분사구문의 내용이 먼저 일어난 경우 having p.p (=완료형). 현재완료 시제와 관련이 없음

분사구문의 태 - 부사절의 동사가 수동태면 being p.p 또는 having been p.p. being과 having been은 생략 가능

감정관련 분사(형용사) - 감정을 나타내는 동사들은 타동사이다. 지겨움을 유발시키는 것은 사물이기 때문에 boring 은 사물명사와 함께 쓰임. 지겨움을 유발 당해서 느끼는 것을 사람이기 때문에 bored는 사람명사(회사 포함)와 함께 쓰임. 대부분의 감정 타동사들의 ~ing는 목적어를 동반하지 않는 경우가 많은데 이러한 경우 더 이상 분사가 아님. 즉 대부분의 감정동사의 ~ing/-ed는 형용사로 취급되어 사전에 나온다.

외워두면 좋은 ~ing/~ed형 형용사 - existing, remaining, missing, automated, preferred, expired(a. 만료된 vi. 파기되다의 의미라 원래 ed가 붙어 명사수식을 할 수 없지만 아예 형용사로 전환되었기 때문에 앞에서 명사 수식 가능), opposing(a. 반대하는), challenging(a. 도전을 불러일으키는, 힘든), lasting, rewarding(a. 보람이 있는), limited, accomplished(a. 숙달된), experienced(a. 경험이 많은), complicated

2.

questionnaire : n. 설문조사

fill out : v. 작성하다

missing : a. 행방불명된

last : vi. 지속되다

continue : vt. 계속하다

<LC>

1.

Part 4의 일반적인 질문 유형 - 화자, 청자 및 주제, 목적 또는 장소를 묻는 일반적인 질문 유형의 정답 단서는 담화의 앞부분에 나온다. part 4의 정답 단서는 문제 순서대로 순차적으로 등장한다.

비행기가 토익에서 자주 등장하는 장소 중 하나.

2.

resume : v. 재개하다

check in : 탑승 수속을 하다

check sth in : 수하물을 붙이다

ticketing counter : 탑승 수속 카운터

terminal : n. 공항의 터미널, 기차의 종착역, 버스의 종점


 

수강 중 나의 좌우명

Always keep the faith !

+ Recent posts